•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즐겨찾기회사소개지역방송회사소개위약금조회

제목

(사)소비자공익네트워크, 식품안전진단 위한 토론회

기자이민희

등록일시2017-11-15 17:59:40

조회수900

사회/스포츠

 

[앵커멘트]

 

얼마전 항생제 달걀 파동으로

소비자와 축산업계 모두 

큰 혼란을 겪었죠.

 

가축의 질병 예방과 치료를 위해

농가에서 널리 쓰이고 있지만

남용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건데요.

 

우리나라 축산식품의 항생제 남용 문제를 짚어보고

안전 정책의 방향을 토론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이민희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얼마 전 항생제 달걀 파동으로

건강에 큰 위협을 느껴야만 했던 국민들. 

 

각 가정은 물론 

외식업계와 식품업계까지 피해는 커졌습니다.

 

사단법인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우리 축산물에 사용되는 항생제 관리 문제와

항생제 내성에 대해 이해하고

안전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김연화 / (사)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

"축산물에 있어서의 항생제와 성장촉진제 등으로 쓰이는 호르몬제 등이

소비자 안전과 함께 부각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 내성에 있어서는

축산물이 먹어서 소비자까지 연결이 돼서

동물과 사람과 환경은 하나라는 원-헬스(One-Health)의 

의미에서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에..."

 

토론회에서는 먼저,

가축 항생제 사용의 현안부터 짚었습니다.

 

항생제는 치료의 목적 뿐 아니라

늘어나는 육류 소비에 맞춰

가축의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널리 이용돼왔습니다.

 

하지만 과용의 결과로,

항생제가 오남용된 가축을 육류로 섭취할 경우

인체까지 항생제가 전파되고 내성균이 생기기 시작한겁니다. 

 

박종명 / 한국동물약품기술연구원 원장

"항생물질은 사람, 가축의 의약품뿐만 아니라 작물, 과수의

농약으로 또는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한 가축의 사료첨가제로 널리 이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가축에 사용한 항생제가 내성균 출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성장촉진용 항생제의 전면 사용금지와

2013년 수의사처방제 도입이 

대표적인 관리 정책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또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내 약제내성과 전담조직을 구성해

항생제 내성에 대한 연구와 관리를 꾸준히 해오고 있습니다.

 

반면 축산분야의 경우 타 선진국에 비해

항생제 관리나 내성 연구 전담 부서가 없고

관리 인력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는 지적입니다.

 

윤장원 /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미국같은 경우에는 USDA 농업연구청 산하에 세균역학항생제내성의 연구를

전담하는 조직이 30에서 40명정도 육성돼있고

또 덴마크의 경우에도 유전체 역학 업무를 담당하는 전담 조직이 30여 명 있고

네덜란드도 역시 원-헬스(One-Health) 센터라는 조직이 있어서...

그런데 반해서 저희 농림축산분야에는 항생제 내성을 전담하는 조직자체가 

굉장히 미약하고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습니다." 

 

생산 단계에서 부터

항생제의 부적절한 사용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농축수산분야의 모니터링 등을 전담할 인원과

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시킬

범부처 대응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여기에 농가에서도 비용 줄이기에만 나설 것이 아니라

농가 스스로 소비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안전한 먹거리 생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이홍재 / 대한양계협회 회장

"저비용 고효율을 찾다보면

농가는 항생제 유혹에 빠질 수 밖에 없어요. 

우리 축산업의 패러다임, 인식이 바뀌어야 합니다.

효율성에서 가치 중심으로 바뀌어야 돼요."

 

2013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사망자는 2만 3천여명.

 

2050년에는 천만명에 이를것으로 예상하며

그 심각성에 대해 세계적으로 경고에 나선 가운데

국가적 대응 마련과 생산업계의 인식 개선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CMB뉴스 이민희입니다.

 

이민희(lmh2422@cmb.co.kr)


CMB 한강방송

 

[Copyright (c) by cmbhk.co.kr, Inc. All rights reserved]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